미세플라스틱·석면 대응 방안 논의… 서울보건환경연구원 세미나 개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오는 17일 오후 3시, ‘미세플라스틱과 석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과 석면 문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연구원은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하고, 유관 기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참가 신청을 받았다.
미세플라스틱과 석면 관련 연구 발표
세미나에서는 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 3편과 석면 관련 연구 2편이 발표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분석 방법과 현황, 석면 조경석의 분석 및 관리 방안 등이 포함된다.
미세플라스틱 분야에서는 △이동욱 인하대병원 교수가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과 건강 영향’, △전기준 인하대 교수가 ‘Py-GC/MS를 활용한 서울시 도로 재비산 먼지 내 미세플라스틱 분석 방법’, △김지희 서울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가 ‘서울시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현황 및 분석 방법’을 발표한다.
석면 관련 연구 발표는 △노열 전남대 교수가 ‘도심 속 석면 조경석의 분포 현황 및 관리 방안’, △배일상 서울보건환경연구원 팀장이 ‘서울시 석면 조경석의 분포 현황 및 분석 방법’에 대해 진행할 예정이다.
전문가 의견 및 연구 동향
이번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은 이동욱 교수는 “최근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위해성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인체 노출 평가 및 건강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며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연구 기반을 신속히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8월 전국 보건환경연구원 중 최초로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대기 1㎥당 5㎛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71개였으며, 가장 많이 검출된 성분은 포장재 및 각종 용기에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건강 보호를 위한 노력
박주성 서울보건환경연구원장은 “미세플라스틱과 석면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이번 세미나를 통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할 계획”이라며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특허 출원과 분석 방법의 표준화 등을 추진해 시민 건강 보호와 불안감 해소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미세플라스틱과 석면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과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공유하는 중요한 자리로, 환경 및 보건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논의가 기대된다